■ 진행 : 김정아 앵커, 박석원 앵커 <br />■ 출연 : 유병욱 / 순천향대 서울병원 가정의학과 <br /> <br />* 아래 텍스트는 실제 방송 내용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보다 정확한 내용은 방송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. <br /> <br /> <br />코로나19 상황 관련한 자세한 내용, 유병욱 순천향대 서울병원 가정의학과 교수와 함께 짚어보겠습니다. 어서 오십시오. 오늘 신규 확진자 26만 명대 나왔습니다. <br /> <br />대통령 선거일인 9일에 23만 명 발생할 거다, 정부 예측치가 이랬는데 이것보다 빠른 상황인데 이렇게 보면 정점이 예상보다 빨라지는 겁니까? <br /> <br />[유병욱] <br />그렇습니다. 현재 보면 이제 정점의 입구에 있다고 생각이 되는 부분이 있습니다. 일부 언론보도를 보면 양성 확진율이 50%라고 하는데요. <br /> <br />그렇다고 하면 우리가 그냥 수학이 아닌 산수만 해도 하루에 검사 건수가 약 85만 건, 많이는 100만 건까지도 최대한 할 수 있는 상태인데, PCR 검사를. 50%면 오늘 확진자는 40만 명이 넘었어야 되죠. <br /> <br />즉 이 50% 양성률은 선별진료소의 양성률입니다. <br /> <br /> <br />이거보다 더 많을 것이다. <br /> <br />[유병욱] <br />실제로 다른 곳에서 검사하는 것은 50%까지 아직 가지 않았거든요. 선별진료소 가신 분들은 주로 우리가 검사를 자가검사키트를 했거나 신속항원검사 검사에서 두 줄이 나온 분들이 검사를 하기 때문에 거기서 두 분 중의 한 분이 나오는 겁니다. <br /> <br />얼마전에는 40%였었죠. 하지만 아직도 일반적으로 많은 곳에서 PCR 검사를 하고 있는데 전국 평균을 보면 하루 85만 건 검사를 했을 때 현재 26만의 양성 판정이 나온다는 것은 이제 30%를 넘어서는 겁니다, 양성률이. <br /> <br />즉 50%가 아니라 30%가 실제 양성률이죠. 그렇다고 하면 우리가 정점이 오는 시점은 약 33~37%를 넘으면 그때부터 정점으로 가서 그다음부터 고원 지속되다가 내려갈 겁니다. <br /> <br />즉 아까 말씀하신 것처럼 실제로 우리가 23만 명을 예측한 것이 그런 30%에서 33%라고 하는 수학적 계산방법에 따른 전문가들의 예측입니다. <br /> <br />왜냐하면 우리나라 검사의 한계가 85만 건이기 때문이죠. 그렇다고 하면 실질적으로 검사건수를 우리가 재차 예측하지만 실제로 이런 가정을 해 볼까요? <br /> <br />집에 어머니가 감염이 됐습니다. 그런데 자녀분은 음성이고 남편분도 음성이에요. <br /> <br />그렇다고 해서 자녀분하고 남편분이 100% 음성이라고 하기는 어렵죠. 순차적으로 감염이 된다고 가정... (중략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3_202203041428175148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